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연 9.54% 효과 2025 청년도약계좌 5월 신청 시작! 달라진 혜택 확인!

by 밋돌세 2025. 5. 1.

 

사회 초년생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목돈 마련. 하지만 치솟는 물가와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 자산을 쌓기란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해 줄 정부 지원 금융 상품,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 더욱 강력한 혜택으로 돌아왔다!

 

5월 신청을 앞두고, 달라진 조건과 혜택을 한눈에 정리했다. 지금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당신도 청년도약계좌로 똑똑하게 자산을 불릴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2023년 6월 출시된 정부 지원 적금 상품이다.

 

매월 최대 70만 원을 자유롭게 납입하며, 5년 만기 시 정부 기여금, 비과세 혜택, 그리고 은행 이자를 더해 최대 약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소득이 낮은 청년일수록 정부 기여금이 더 많이 지원되어,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


2025년에는 기여금 확대와 조건 완화로 가입 문턱이 낮아졌으며, 중도해지 혜택도 강화되어 더 많은 청년이 부담 없이 도전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5월 신청기간

2025년 5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은 5월 2일(금)부터 5월 16일(금)까지 진행된다. 계좌 개설 가능 기간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며, 아래와 같다:

 

  • 1인 가구: 5월 22일(목) ~ 6월 13일(금)
  • 2인 이상 가구: 6월 2일(월) ~ 6월 13일(금)

 

신청은 영업일 기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가능하며, 취급은행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진행된다.

 

 

 

 

 

신청 방법

1. 은행 앱 다운로드: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NH농협, 부산, 광주, 전북, 경남, iM뱅크(구 대구은행) 중 원하는 은행 앱을 설치한다.

 

2. 가입 자격 확인:

앱에서 나이, 소득, 가구 정보를 입력해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3. 계좌 개설 신청:

자격 확인 후, 계좌 개설을 신청하고 심사 결과를 기다린다.

 

4. 계좌 개설 완료:

심사 통과 시, 지정된 기간 내에 계좌를 개설하고 납입을 시작한다.

 

신청 마감일 D-2(마감일 2영업일 전)까지 신청을 완료해야 원활한 심사가 가능하다. 특히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일시납입 신청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자.

 

 

2025년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해서는 아래 네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2025년에는 소득 요건이 완화되고, 가구 소득 기준이 중위소득 180%에서 250%로 상향되어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1. 나이 요건

  • 만 19세 ~ 34세 (가입일 기준).
  • 병역 이행자는 병역 기간(최대 6년)을 제외하고 연령을 계산한다. 예: 만 36세에 2년 복무했다면, 만 34세로 인정.
  • 예외: 2025년 기준 1989~2006년생이 기본 대상이며, 병역 이행자는 최대 39세까지 가능.

 

2. 개인 소득 요건

다음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된다:

 

  • 총 급여: 직전 과세기간(2024년)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특이 사항: 육아휴직급여, 군 장병 급여도 소득으로 인정되며,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 소득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 가입 불가.

 

 

 

3. 가구 소득 요건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이며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50%는 아래와 같다

 

  • 1인 가구: 약 518만 원/월
  • 2인 가구: 약 860만 원/월
  • 3인 가구: 약 1,109만 원/월

 

가구원은 주민등록표상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로 판단.

 

4. 금융소득 요건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2022~2024년) 중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자·배당소득 연 2,000만 원 초과)에 1회 이상 해당되지 않아야 한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도약계좌 동시 가입 불가. 단,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일시납입으로 전환 가입 가능.

 

 

 

 

 

2025년 변경된 주요 혜택

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기존 대비 정부 기여금 확대, 중도해지 혜택 강화, 부분 인출 서비스 도입 등으로 매력이 한층 커졌다. 

 

1. 정부 기여금 확대

  • 기존: 소득 구간별로 납입 한도(40만~60만 원)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기여금 미지급.
  • 2025년 변경: 모든 소득 구간에서 월 70만 원 전액에 기여금 지급.

 

소득별 기여금 비율 (2025년 기준, 총 급여 기준)
2,400만 원 이하 최대 6% (월 최대 42,000원).
2,400만~3,600만 원 최대 4.8% (월 최대 33,600원).
3,600만~4,800만 원 최대 4% (월 최대 28,000원).
4,800만~6,000만 원 최대 3% (월 최대 21,000원).
6,000만 원 초과 기여금 미지급, 비과세 혜택만 적용.

 

 

소득이 낮은 청년은 월 최대 60,000원 이상 추가 지원, 연 9.54% 수준의 적금 효과 기대.

 

 

2. 중도해지 혜택 강화

  •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해도 비과세 혜택정부 기여금 60% 지급.
  • 특별 중도해지 사유: 사망, 해외이주, 퇴직, 사업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혼인, 출산(배우자 포함) 시 만기와 동일한 혜택 제공.
  • 효과: 3년 유지 후 중도해지 시 연 4.17~5.13% 수익률 기대.

 

3. 부분 인출 서비스 도입

  • 2025년 하반기부터 조건 충족 시 부분 인출 가능.
  • 예: 긴급 자금 필요 시 계좌 유지하면서 일부 금액 인출 가능.
  • 구체적인 조건과 절차는 하반기 공지 예정.

 

4. 금리와 비과세 혜택

  • 금리: 기본금리(3.8~4.5%, 3년 고정, 2년 변동) + 소득 우대금리(최대 0.5%) + 은행별 우대금리(최대 1%). 최대 연 6% 적용 가능.
  • 비과세: 만기 또는 특별 중도해지 시 이자소득에 대해 소득세 면제.
  • 은행별 금리 비교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확인 가능.

 

 

청년도약계좌의 매력

1. 높은 수익률

월 70만 원 납입 시, 5년 만기 후 약 5,000만 원 수령 가능(은행 이자 4.5%, 정부 기여금, 비과세 포함). 연 8.19~9.54%의 일반 적금 효과로, 저축은행 고금리 적금보다 유리하다.

 

2. 유연한 납입

  • 자유 적립식: 매월 1,000원~7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중간에 납입을 쉬어도 계좌는 유지되며, 연간 납입 한도는 840만 원.

 

3. 청년희망적금 연계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만기 수령금(최대 1,311만 원)을 일시납입해 18개월치 납입으로 인정받는다. 약 46만 원 추가 혜택(월 7600원 수준). 신청은 만기 다음 달까지 가능.

 

4. 안전성

  • 예금자 보호: 원금과 이자 합산 5,000만 원까지 보호.
  • 정부 지원: 서민금융진흥원과 협약은행 운영으로 신뢰도 높음.

 

 

 

댓글